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독감 백신을 맞으러 갔다가 "3가, 4가 중 어떤 걸로 하시겠어요?"라는 질문을 받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 순간 머뭇거렸던 기억이 아직도 납니다. 그냥 맞으라는 대로 맞으면 될 줄 알았는데, 숫자가 붙어 있으니 왠지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 같았거든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독감 백신 3가 4가 차이를 제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독감 백신 3가 4가 차이

독감 백신이란?

독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백신입니다. 매년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러스 균주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백신이 제조됩니다.

독감은 단순 감기와 달리 고열, 근육통, 폐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고위험군에게는 특히 위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인 예방접종이 중요한데, 어떤 백신을 맞는지가 문제의 핵심이 됩니다.

백신 주사

독감 백신이 숫자가 있는 이유

독감 바이러스는 A형과 B형으로 나뉘며, 그 안에서도 여러 아형과 계통이 존재합니다. 매년 유행하는 아형이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백신은 그중 일부를 골라 예방 효과를 가지도록 만들어집니다.

  • 3가 백신: 인플루엔자 A형 2종 + B형 1종 = 총 3종 예방
  • 4가 백신: 인플루엔자 A형 2종 + B형 2종 = 총 4종 예방

즉, 숫자는 백신이 예방할 수 있는 바이러스 종류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독감 환자

독감 백신 3가 4가 차이

아래 표로 정리하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구분 독감 백신 3가 독감 백신 4가
예방 대상 A형 2종 + B형 1종 A형 2종 + B형 2종
차이점 B형 균주가 1종만 포함됨 B형 균주가 2종 포함됨
장점 기본적인 예방 가능,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음 더 넓은 범위의 예방 효과 제공
권장 대상 비용 부담을 줄이고 싶은 경우, 의료 접근성이 제한적인 경우 어린이, 노인,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

즉, 4가는 3가보다 커버 범위가 넓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하지만 어떤 백신을 맞을지는 개인의 건강 상태, 비용, 의료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증상

마치면서

정리하자면, 독감 백신 3가 4가 차이는 B형 균주가 하나 더 포함되었느냐의 차이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많은 종류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비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올해 나는 백신을 맞을 것인가, 맞는다면 내 상황에 맞는 선택은 무엇인가"입니다. 어느 쪽이든 접종 자체가 독감으로 인한 위험을 크게 줄여 준다는 사실만은 분명합니다.

 


독감 백신은 매년 꼭 맞아야 하나요?

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 시즌 새로 맞아야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어린이는 반드시 4가 백신을 맞아야 하나요?

권장되긴 하지만, 의료진 상담 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b형 독감 잠복기 및 격리기간 정리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